저체중 체중 증가시키는 방법 - 근육 증가의 중요성
지난 시간에는 저체중의 문제점에 대해 간략히 살펴 보았습니다. 우리는 보통 비만이 심각한 문제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습니다만(큰 문제이기는 합니다) 저체중 역시 심각하게 다뤄야 할 문제라는 인식에 접근을 하게 되었습니다.
비만만큼 위험한 저체중,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저체중 체중 증가시키는 방법
저체중 = 살을 찌워야 한다! 라는 공식이 성립될 수도 있지만 식사량을 늘려 살을 찌워서는 안됩니다. 오히려 성인병을 더 키울 있기 때문인데요.
갑작스런 지방 증가 NO
몸무게가 상대적으로 적다고 식사량을 늘리거나 간식, 야식을 늘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는 잘못된 방법으로 지방만 양산하는 꼴이 됩니다. 이러한 방법은 저체중의 위험성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뼈와 근육이 튼튼해지는 것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의 질환 위험에 더 노출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근육량을 늘리자
체중은 지방이 아닌 근육량을 증가시켜야 합니다.
근육량이 적으면 만성질환 위험이 높아져 건강만 악화될 뿐입니다. 또한 에너지 소비가 줄어들어 내장지방을 유발할 수도 있으며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에 그대로 노출되게 됩니다.
근육량이 적어지면 자연스레 뼈도 약해지게 됩니다. 근감소증은 골다공증 환자에게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근육량이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은 입원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들의 움직임과 산소, 혈액공급 능력의 차이가 나타납니다.
근감소증이란 근육량과 근력이 떨어지게 되는 현상을 말하며, 주로 노인에게 나타납니다. 이는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체지방량을 증가시키기도 합니다.
근육량이 많다 vs 저체충
일반적으로 저체중인 자는 근육량이 적습니다. 그러나 몸무게가 적게 나간다고해서 무조건 체중을 늘려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런 사람들은 굳이 체중을 늘릴 필요가 없습니다.
- 기초대사량이 많은 사람
- 삼시세끼 꼬박 먹는데 저체중인 사람
- 어렸을때부터 저체중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사람
- 근육량이 많은 사람
이런 분들은 체중을 일부러 늘리지 않아도 됩니다.
자신이 저체중인지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본인에게 적당한 체중과 식단 등을 병원 전문의를 통해 체크를 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이제 우리는 저체중이 비만만큼 위험한 것임을 알았습니다. 무조건 체중을 늘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 아님을 알았습니다.
비만인 사람과 저체중인 사람 모두 근육량의 여부가 중요하다는 것도 알았습니다. 처음부터 큰 변화보다는 조금씩 운동하는 습관을 통해 건강한 신체를 가져보는 것이 어떨까요?
댓글을 달아 주세요